민주당 김성회 의원 등, 삼불화질소 추가한 ‘7대 온실가스’ 개정안 발의 "유엔 제출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2035NDC 및 ESG공시 위해 필요”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국내 ‘탄소중립기본법’이 정한 온실가스 종류로 이산화탄소 등 기존 6종에 더해 반도체 생산 공정에 많이 사용되는 삼불화질소(NF3)를 포함하기 위한 법 개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김성회 의원(고양시갑) 등 11인은 지난 19일 이같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ㆍ녹색성장 기본법(탄소중립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김 의원 등은 국회 의안정보 시스템에 공개된 제안 이유로 “모든 유엔 기후변화총회 당사국은 '2006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지침'을 적용해 국가 인벤토리 보고서(NIR)를 올해 연말까지 유엔에 제출해야 하고, 내년까지는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를 제출해야 한다”며 “현행법이 배출량 산정 대상으로 지정한 온실가스는 단지 6종으로 규정되고 있어 2006 IPCC 지침에 맞게 삼불화질소(NF3)를 추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물 부족으로 수력발전량 급감 등 11개 뉴스 선정 AI 보급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로 석탄 퇴출 지연 ESS 보급 확대와 전기차 가격 패리티 도달 등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올해에도 변함없이 주요 해외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기후 관련 뉴스가 쏟아져 나왔다. 블룸버그뉴스는 최근 도널드 트럼프 당선 같은 뉴스에 가려져 주목을 받지 못했으나, 지나칠 수 없는 중요한 기후 뉴스를 선정해 보도했다.
<워스트 뉴스>
①수력 발전량 급감
미국의 수력발전은 2017년 이후 석탄 다음으로 빠른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량 감소가 주된 이유다. 2017년 정점을 찍은 후 약 5분의 1 정도로 감소했다. 중국에서도 양쯔강 유역 분지에서 늦은 여름에 비가 내라지 않아 수력발전량이 급감했다. 올 9월 중국은 이를 메우기 위해 석탄발전소 가동을 늘려야 했다.
[뉴스펭귄 이한 기자] 2024년 발생한 대형 기후재난으로 약 2천명이 사망하고 2,290억 달러(337조원)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적인 피해규모가 컸던 상위 10개 재난만 집계한 숫자로 실제 지구촌에 닥친 기후재난 피해는 이보다 더 클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12월 30일(현지시간) 구호 연합기구 ‘크리스천 에이드’가 보험금 지급액 자료를 토대로 낸 집계를 근거로 위와 같이 보도했다. 이 내용은 연합뉴스 등을 통해 국내에도 보도됐다.
보도에 따르면 2024년 기후재난 중 단일 재해로 재산 피해액이 가장 컸던 것은 10월 미국을 덮친 허리케인 밀턴이다. 당시 25명이 사망하고 600억 달러(88조 원)의 피해가 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