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 | 2023.09.13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배출권 이월 제한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3일 '국내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가격 동향과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배출권거래제 톤(t) 당 가격은 2015년 1월 8640원으로 시작해 2020년 초 4만2500원까지 가격이 올랐지만 올해 7월 기준 7020원으로 역대 최저 수준까지 하락했다.
2015년 도입된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따라 기업은 정부에서 할당 받은 온실가스 배출권이 남으면 다른 기업에 팔거나 미사용 배출권 중 일부를 다음 연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이월할 수 있는 배출권은 순매도량의 2배까지로 제한되고 있다. 배출권 가격이 지속 오르는 상황에서 기업들이 탄소 배출권을 팔지 않고 보유하는 것을 막기위한 것인데 오히려 이 같은 제도가 가격 하락세를 부추기고 있다는 게 대한상의의 지적이다. 보고서는 미사용 배출권이 소멸하기 전에 팔려는 기업이 많아진 반면 구매 기업은 이월 제도 때문에 배출권을 추가로 확보할 유인이 적어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내년부터는 이월 가능 분이 '순매도량의 2배'에서 '순매도량'으로 축소돼 시장에 배출권 유통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
|
|
천연수소 10%만 추출해도 수천년 소비량…미국이 뛰어들었다
한겨레 | 2023.09.12
땅속 수소 생산·추출기술 연구에 정부 돈 지원
유럽 국가들이 새로운 청정 에너지원 후보로 천연수소의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도 천연수소 채굴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기세다.
미국 에너지부 연구기관인 에너지고등연구계획국(ARPA-E)은 최근 “땅속에서 자연적으로 생성, 축적되는 수소 매장지 발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땅속 청정수소를 생산하고 추출하는 기술 연구에 2천만달러(270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천연수소 부문에 정부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2007년 설립된 이 기관은 미국의 에너지 문제 해결을 위한 고위험, 고수익의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을 개발하거나 대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현재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수소는 온실가스 배출원인 석탄이나 천연가스를 가공 처리하거나 물을 전기분해해 얻는다. 그러나 천연수소는 이런 산업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곧바로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는 청정 에너지원이다. 자연에서 천연수소를 뽑아 쓸 수 있다면 운송이나 제철 같은 중공업 중공업 분야에서 화석 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 미국이 이 부문에 정부 자금을 투입하기로 한 것은 “잠재적으로 산업의 탈탄소화를 달성하는 데 충분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
|
|
'소양강댐 25배' 대형 댐에…에티오피아·이집트, 뜨거운 물싸움
중앙일보 | 2023.09.12
아프리카 대륙의 젖줄인 나일강에 초대형 댐이 들어서면서 에티오피아와 이집트 간 물싸움이 격화하고 있다. 에티오피아가 나일강 상류에 건설한 대형 댐에 마지막 4차 담수를 끝냈다는 사실을 공표하자, 나일강 하류에 있는 이집트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AFP통신 등에 따르면, 아비 아머드 알리 에티오피아 총리는 이날 소셜미디어(SNS) X(옛 트위터)에 "현 세대에게 큰 선물인 '그랜드 에티오피아 르네상스댐(GERD)'의 마지막 4차 담수 작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돼 매우 기쁘다"면서 "그동안 외부 압박 등 시련이 많았지만 여기까지 잘 왔고, 앞으로 남은 과정도 잘 마무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에티오피아와 이집트·수단 3국이 2년 만에 GERD에 대한 협상을 재개한 지 약 2주 만에 나온 것이다. 협상 과정에서 이집트는 합의가 완료될 때까지 담수를 중단해달라고 에티오피아에 거듭 요청했지만, 에티오피아는 담수는 자국의 권리라며 맞섰다. 결국 지난 2020년 7월 1차 담수를 시작한 후, 이번에 최종 4차 담수까지 완료했다.
이에 이집트 외무부는 "에티오피아의 일방적인 행동은 나일강 하류 국가의 권리와 이익, 그리고 국제법이 보장하는 물 안보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또 "앞으로 4개월 이내에 끝맺기로 한 3국의 협상 과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큰 부담이 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
|
|
"1등 639억" 머스크 거금 걸었다…열 받은 지구 구할 '이 기술'에 뭉칫돈
머니투데이 | 2023.09.09
탄소 저감을 넘어 DAC로 탄소 제거
"1등 상금 5000만달러(약 639억원)"
수백억 잭팟을 터뜨릴 기업은 어디일까? 대회 총 상금규모는 1억달러(1278억원). 테슬라 창업주 일론 머스크는 2021년 4월부터 2025년 4월까지 DAC(Direct Air Capture, 대기 중 직접 탄소포집) 기술을 포함한 가장 좋은 CDR(Carbon Dioxide Removal, 탄소제거기술)을 선정하는 대회를 열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주 빌 게이츠도 기후변화에 대응할 첨단 신재생에너지 기술을 지닌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라는 VC(벤처캐피탈)을 2020년 설립하고 다양한 DAC 기술 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을 대표하는 첨단기업 2곳이 이른바 기후테크(기후(Climate)+기술(Technology) 합성어) 기업에 대규모 전략적 투자를 단행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점점 빨라지는 기후변화로 펄펄 끓게 된 '지구 열대화 시대'를 막아내거나 늦추기 위해서다.
|
|
|
천연가스 9.8% 급등… 세계 최대 LNG 수출국 호주서 파업
IMPACT ON | 2023.09.14
전 세계 액화천연가스(LNG) 생산량의 약 6%를 차지하는 호주 셰브론 LNG 사업장 노동자들이 8일(현지 시각) 파업에 돌입했다.
CNN, 로이터 등 외신은 전 세계 LNG 가격 안정성이 흔들릴 수 있다고 보도했다.
LNG는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를 영하 161도에서 냉각해 액화시킨 것을 의미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LNG를 원료로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다. 셰브론은 글로벌 석유 및 천연가스 기업으로, 엑손모빌과 함께 미국의 양대 석유 메이저다.
에너지 업계는 이번 파업으로 LNG 생산량 감소에 따른 가격 상승 위험에 주목하고 있다. 국제가스연합에 따르면, 호주는 작년 기준 세계 최대 LNG 수출국으로, 2022년 8090만톤, 2021년 79만톤의 LNG를 수출했다. 이번 파업이 LNG 공급 안정성에 타격을 줄 수 있는 이유다.
실제로 셰브론과 노조의 협상이 결렬되자 유럽 천연가스 가격은 바로 출렁였다. 유럽 가스 부문 가격 지표인 네덜란드 가스 선물 가격은 협상이 결렬된 지난 8일 9.8% 상승, 메가와트 시간당 36유로(약 5만원)를 기록했다.
유럽이 LNG 생산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산 가스 공급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CNN에 따르면, 유럽은 지난 겨울 에너지 위기를 겪으면서 글로벌 LNG 공급 의존도가 크게 높아졌다.
|
|
|
수도권 전역 '쓰레기소각장' 극한대립…딱 한곳 여기만 웃었다
아시아경제 | 2023.09.14
2026년 수도권매립지 직매립 금지 서울 상암동, 인천·경기 곳곳 마찰음 해결 모범사례 '평택 에코센터'
2026년부터 소각되지 않은 폐기물의 수도권 매립지 반입이 금지되는 가운데 수도권 곳곳에서 신규 광역자원회수시설(소각장) 설치를 두고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서울시 내 입지로 마포구 상암동이 최종 선정되자 지역 주민들이 즉각 반발했고, 인천·경기지역에서도 공모 중단 등 잡음이 일고 있다. 새로운 소각장 마련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공공갈등 해결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런 가운데 소각장 신설을 둘러싼 갈등을 원만히 해결한 선례가 있어 주목받는다. 2019년 250t 규모로 조성된 경기 평택시 고덕면 해창리 소재 '평택에코센터'(오썸플렉스)다. 2012년 '고덕국제화 계획지구' 실시계획 승인 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평택에코센터는 초창기 지역 주민의 반발에 부딪혔다. 고덕면 주민들은 시청을 항의 방문하고, 평택역 앞 광장에서 가두시위를 벌였다.
평택시는 주민 설득을 위해 고덕면 이장 30여명과 수십차례 면담을 갖고 주민들이 원하는 바를 파악했다. 이후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소각장은 지하에 두고, 지상에 수영장과 찜질방, 게이트볼장, 산책로 등 복합 문화·체육공간을 설치하기로 했다. 시설 운영도 주변영향지역 주민지원협의체인 '고덕 해창 2·5주민 협동조합'이 맡게 했다. 또 해창2리·5리 주민 조합원 130가구가 각각 지분 0.77%씩 보유해 편의시설 순수익의 일부를 매년 공평히 분배받을 수 있게 했다. 소통이 이어지면서 주민들은 찬성으로 돌아섰다. 권영진 고덕 해창 2·5주민 협동조합 본부장은 "주민들이 원하는 바를 대부분 반영해줬다"며 "특히 소각장 설치 필요성과 유해성이 적다는 점을 잘 설명해준 부분이 컸다"고 말했다.
|
|
|
M&A에 3년간 4조…'건설→환경·에너지' 간판 바꿔달았다
아시아경제 | 2023.09.12
SK에코플랜트 변신은 현재진행형 수처리에서 폐배터리 재활용까지 풍력으로 수소 생산 녹색수소도 속도
지난 3년간 인수합병(M&A)과 지분 투자에 4조원 넘게 쏟아부어 '건설사' 대신 '기후변화 문제 해결 기업'으로 간판을 바꿔 달았다. 탄소중립 시대가 열리며 많은 기업이 기존 사업은 더 이상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SK 에코플랜트도 그랬다. 변해야 산다는 절박함으로 회사는 미래를 위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2020년 이후 환경, 에너지 분야에 4조원 이상 투자했다. 'SK뷰'로 대표되는 주택 건설사업과 SK하이닉스와 10년 넘게 추진해온 플랜트 사업, 도로나 항만 등 인프라 건설 사업 등 기존 핵심 사업과 어울리지 않는 분야였다. 변하려면 아예 뿌리부터 달라져야 했다.
SK에코플랜트가 근래 추진한 M&A 가운데 가장 규모가 컸던 것은 싱가포르 테스 인수다. 작년 2월 테스 지분 100%를 1조2000억원에 사들였다.
테스는 흔히 'e-폐기물'로 불리는 전기·전자 폐기물 처리업체다. 테스 인수로 단숨에 북미와 유럽 등 선진국을 포함해 총 22개국에 사업장을 확보했다. 전기·전자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국경 간 폐기물을 옮길 수 있는 '바젤 허가(Basel Permit)'가 필요한데 테스는 20여개국에 허가를 보유하고 있다. SK에코플랜트는 테스를 거점으로 삼아 폐배터리 처리 시장에도 뛰어들었다.
|
|
|
‘일회용컵 보증금제’ 전국 의무화 철회… 지역 자율에 맡긴다
동아일보 | 2023.09.12
300원 낸후 컵 반환땐 돌려 받아 세종-제주서 작년말부터 시범 시행 소비자들 불편-소상공인은 반발 예산 240억 들이고 사실상 포기
환경부가 2025년까지 전국에서 의무 시행하기로 한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지방자치단체 자율에 맡기기로 했다. 3년간 두 차례 연기됐던 일회용컵 보증금제 의무화를 사실상 철회하는 것이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는 10일 “전국에 일회용컵 보증금제를 의무화하기에는 사회적 비용 증가 등 무리가 따른다”며 “제도를 백지에서 검토하고 제주 등 지자체 특성에 따라 자율에 맡기는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음료를 종이컵이나 플라스틱컵으로 구매할 때 자원순환보증금 300원을 내고, 컵을 반납하면 이를 돌려받는 제도다. 지난해 12월부터 세종과 제주에서 시범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일회용컵 보증금제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에 따라 3년 이내 전국에서 시행해야 한다.
환경부는 올해 안에 전국 확대 시행 시기를 ‘3년 이내’로 명시한 고시를 개정해 ‘데드라인’을 삭제하고, ‘전국 의무 시행’을 명시한 현행법도 개정하기로 했다. 각 지자체 자율에 맡길 경우 사실상 폐지 수순을 밟게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
|
|
호주 포장재 시장 트렌드, 일회용 플라스틱 패키징의 대체재는?
kotra 해외시장뉴스 | 2023.09.12
호주내 플라스틱백 판매 금지 확대로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종이 패키징 수요 증가
현지 기업들의 개발, 활용 사례를 확인하여 시장 진출 방안 모색 필요
IBIS World 보고서에 따르면, 호주 종이 포장재 제조 시장 규모는 2022-23년 회계연도 기준 4억 호주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동 시장에서 종이 식품 용기가 42.7%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종이 박스 39.7%, 음료수 용기 17.6%순으로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한 급격한 배달 서비스의 발달과 포장 음식의 수요에 비례하여 종이 식품 용기의 수요도 대폭 증가하였으며 코로나 19 관련 규제가 완화된 현시점에도 종이 식품 용기의 수요는 유지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플라스틱백의 판매 금지가 본격화되면서 호주내 종이 포장백 수요가 급부상하였으며, 생산 규모는 2022-23년 회계연도 기준 2억 3천만 호주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종이 포장재의 주요 수요처는 식품 생산 업체(43.8%), 의약품 생산 업체(17.7%), 음식점 (13.7%), 음료 생산 업체(13.2%)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음료는 일상생활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식음료 관련한 종이 포장재는 꾸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며 현지 친환경 규제 등에 따라 종이 포장재도 지속적인 개발 및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
|
“중국, 보고 있나?”…‘1963조 원어치’ 미국서 세계 최대 리튬 매장지 발견
nownews | 2023.09.12
미국 네바다와 오리건주 접경지역에서 발견된 리튬의 매장량이 세계 최대 규모에 가까울 정도라는 예측이 나왔다.
뉴욕포스트, 폭스비즈니스 등 현지 언론의 11일(이하 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네바다-오리건주 접경지역에서 발견된 리튬 매장지에는 최대 4000만t에 달하는 리튬이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맥더미트 칼데라’라고 불리는 해당 지형은 오리건주 남동부와 네바다주 북부에 있는 멕더미트 서쪽의 타원형 모양의 대형 분화구(칼데라)다. 해당 분화구는 약 1600만 년 전 거대한 화산 마그마가 외부로 폭발하면서 형성됐다. 맥더미트 칼데라(분화구) 내부는 나트륨과 칼륨, 염소, 붕소가 풍부한 알칼리서 마그마의 산물이 가득 차 있으며, 이것이 빠르게 냉각되면서 풍화작용을 통해 리튬의 생성으로 이어졌다. 오리건주립대와 뉴질랜드 GNS사이언스 연구소, 미국 리튬기업협회 소속 지질전문가들에 따르면, 화산 폭발로 생긴 맥더미트 칼데라의 리튬 매장량은 2000만~4000만t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칠레와 호주의 매장량보다 훨씬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
|
|
최근 4년여간 불법매립 폐기물 20만여t…경기도에 최다
연합뉴스 | 2023.09.12
지난달 민통선 북쪽서도 적발…"최종 처분 확인해야"
최근 4년여간 불법으로 매립된 폐기물량이 당국에 적발된 것만 20만t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국민의힘 이주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현황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3월까지 당국에 적발된 폐기물 불법매립 사례는 107건, 불법으로 매립된 폐기물은 20만445t이었다.
폐기물 불법매립 적발 사례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로 4년여간 45건(6만4천957t)이었다. 경기에 이어서는 경남(23건·3만2천684t), 충남(11건·2만5천325t), 경북(9건·3만5천349t) 순으로 사례가 많았다. 지난달 민간인이 출입하기 어려운 민간인통제선 북쪽인 경기 파주시 군내면에 건축폐기물과 오염토가 불법으로 매립된 사실이 확인되면서 폐기물 불법매립 근절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선 폐기물 발생·처리 현황만 관리하는 환경부 '올바로 시스템' 허점을 이용해 폐기물을 재활용품으로 둔갑시켜 당국의 감시에서 벗어나는 일이 많아 이 허점부터 막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
|
|
환경부, 공장 간 폐수 재활용 허용…현대오일뱅크 과징금 어쩌나
연합뉴스 | 2023.09.08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예고…폐수 주고받기 가능해져 오일뱅크에 1천500억원대 과징금…"새 규정 적용 안돼" 명시
공장 폐수를 가까운 다른 공장으로 보내 재활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방안이 입법예고됐다.
HD현대오일뱅크가 이런 행위 때문에 과징금을 부과받은 상태인데 과거 일에는 새 규정을 적용하지 않도록 명시됐다.
환경부는 물환경보전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7일 입법예고했다고 8일 밝혔다.
수질오염물질 처리시설 설치 말고 수질오염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에 '폐수를 고정관로로 이송해 다른 사업장 제조공정에 사용하는 경우'를 추가하는 것이 이번 개정안 골자다. 폐수를 다른 사업장에 재활용을 위해 보내는 방식으로 처리하려면 일단 '가뭄 등으로 공업용수 수급이 원활하지 않다고 시·도지사가 인정하는 지역'이어야 한다. 또 폐수를 주고받는 사업장들이 '같은 산업단지·공업지역이나 연접한 단지·지역'에 있어야 한다. 폐수를 받는 사업장은 수질오염 처리시설에서 오염물질을 배출허용 기준 이하로 정화해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
|
|
주식회사 이이씨
newsletter@eecube.co.kr
경기도 군포시 고산로 148번길 17,
군포IT밸리 A동 803, 804호
|
|
|
|
|